-
목차
컬러리스트 자격증은 색채와 관련된 전문 지식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으로, '컬러리스트기사'와 '컬러리스트산업기사'로 구분됩니다. 아래에서 각 자격증의 응시자격, 응시방법, 주의사항 등을 상세히 안내해 보려고 합니다.
1. 컬러리스트기사
-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관련 전공의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
-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에서 4년 이상의 실무 경력자
-학점은행제를 통해 관련 전공으로 106학점 이상 취득한 자
- 응시문항은 필기 실기로 나뉘며, 자세하게는,
- 필기시험: 색채심리·마케팅, 색채디자인, 색채관리, 색채지각론, 색채체계론 등 5과목으로 구성되며, 과목당 20문항의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출제됩니다.
- 실기시험: 색채계획 실무를 평가하며, 작업형으로 진행됩니다.
- 합격기준은 유형당,
- 필기시험: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시험: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2. 컬러리스트산업기사
- 응시자격:
- 관련 전공의 전문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
-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에서 2년 이상의 실무 경력자
- 학점은행제를 통해 관련 전공으로 41학점 이상 취득한 자
- 응시방법:
- 필기시험: 색채심리, 색채디자인, 색채관리, 색채지각의 이해, 색채체계의 이해 등 5과목으로 구성되며, 과목당 20문항의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출제됩니다.
- 실기시험: 색채계획 실무를 평가하며, 작업형으로 진행됩니다.
- 합격기준:
- 필기시험: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시험: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3. 응시 시 주의사항
- 응시자격 확인: 시험 접수 전에 본인의 학력이나 경력이 해당 자격증의 응시자격에 부합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학점은행제 활용: 비전공자나 관련 경력이 없는 경우, 학점은행제를 통해 필요한 학점을 취득하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문 기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험 준비: 필기와 실기 모두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며, 특히 실기시험은 실무 능력을 평가하므로 관련 실습을 충분히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시험 일정 확인: 한국산업인력공단(Q-net) 홈페이지를 통해 시험 일정과 장소를 확인하고, 접수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컬러리스트 자격증은 색채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인증하는 중요한 자격입니다. 충분한 준비와 정확한 정보를 통해 성공적인 취득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퍼스널컬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vs 컬러리스트 기사 차이점 (0) 2025.04.10 커플팰리스2 화제의 그녀, 유혜원 퍼스널컬러 분석 (0) 2025.03.06 솔로지옥4 화제의 인물 이시안 퍼스널컬러 분석 (0) 2025.03.05 내 퍼스널컬러를 망치는 실수 TOP 5! 당신도 혹시? (0) 2025.03.04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시 참고할 만한 유투브 컨텐츠 추천 (0) 2025.03.02